
DateTime을 사용해서 날짜 및 시간 차이를 구할 수 있다. 먼저 날짜 차이를 구할 DateTime 2개를 만들고 TimeSpan으로 2 날짜 간의 차이를 구하면 된다. 예제로 내 생일이 얼마나 남았는지 계산해 보도록 하겠다. 날짜 차이 구하기 예제 DateTime currDate = DateTime.Now; // 현재 일자 DateTime birthDate = new DateTime(2023, 12, 14); // 생일 일자 TimeSpan? timeDiff = birthDate.Date - currDate.Date; // 생일일자 - 현재일자 int dayDiff = timeDiff.Value.Days; // 남은 일자 299 1. DateTime currDate = DateTime.Now; cu..

C# 특정 자릿수 문자 추가 하나씩 증가되는 문서번호를 여러 자릿수로 만들거나, sub 번호를 4자리로 만드는 등 특정 자릿수에 특정 문자를 추가할 경우 PadLeft, PadRight 등을 사용해서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ubNo라는 칼럼에 0001, 0002, 0003, 0004... 등으로 순차 증가되는 문자를 넣어줘야한다고 가정하자. 이럴 경우 아래 2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1. 숫자가 1씩 증가해야 한다. 2. 자릿수는 4자리를 유지해야 한다. PadLeft를 사용하지 않은 예제 PadLeft를 사용하지 않고 조금 무식하게 만든 예제이다. 이렇게 해도 0001~9999 까지 순차적으로 값을 생성할 수 있지만 코드 가독성도 좋지않고 간단한 로직인데도 복잡하다. for(int i = 1..

TextField 컴포넌트 onKeyPress 함수를 사용해서 엔터키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거나 특정 정보를 입력 후 버튼 클릭을 별도로 하지 않고 엔터키를 입력해서 이벤트를 처리할 때 사용하면 된다. TextField 엔터키 이벤트 예제 {if(e.key === 'Enter') {onSubmit();}}} /> 1. TextField 컴포넌트에 onKeyPress 이벤트 함수를 생성 2. KeyPress 이벤트를 (e) 로 받아서 e.Key 값이 Enter 인 경우 3. onSubmit 함수를 실행

Xamarin 뒤로가기 프로그램 종료 앱에서 뒤로 가기 버튼을 눌러서 프로그램을 종료시키는 경우가 많다. 만약 가장 첫 페이지에서 뒤로 가기 버튼을 눌렀는데 별도로 종료하는 기능을 넣어주지 않으면 앱은 종료된 것처럼 화면에서 사라지는데 실제로 프로그램은 종료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 뒤로 가기 버튼을 1초 안에 2번 누르면 종료되도록 예제를 만들어 보려고 한다. 뒤로가기 종료 예제 1. 뒤로가기 버튼을 누를 경우 orverride 된 OnBackPressed() 이벤트 함수로 받을 수 있다. 2. MakeText를 사용해서 "한 번 더 누르면 종료됩니다" 메시지를 출력 3. 그리고 현재 시간을 함수 밖에서 저장(초기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 4. 다시 뒤로가기 버튼을 누르면 첫 번째 뒤로 가기 했..

React 숫자에 콤마 입력 숫자 표시의 경우 4자리가 넘어가면 콤마(,)를 찍어주면 읽기가 편하다. 예를 들어 50000원보다는 50,000원으로 표시해 주면 금방 단위를 파악해서 읽을 수 있다. 프로그램에서도 사용자를 위해서 데이터를 출력해 줄 때 가능하면 콤마를 표시해 주는 게 좋다. 숫자에 콤마입력 예제 위 예제에서는 50000이 입력된 avg 변수의 값에 콤마를 입력해주는 예제이다. TableCell에 들어가는 Typography 컴포넌트에 avg 값을 입력해 주는데 numberWithCommas 함수를 사용해서 50000 값을 50,000으로 변경해 줬다. // 숫자에 콤마입력 함수 const numberWithCommas = (x) => { return x.toString().replace(..

React 삼항연산자로 Style 정보 입력 React에서 UI를 그릴 때 삼항연산자를 많이 사용하게 된다. A 조건이면 배경을 빨간색으로하고 아니면 투명한 색으로 한다던가 Border 값을 조건에 따라서 넣는다거나 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html 코드 부분에 조건문 등을 허용하지 않아서 삼항연산자를 써야 하는 경우도 있다. 삼항연산자로 Style 넣는 예제 borderBottom:category.toLowerCase().indexOf('평균'.toLowerCase()) !== -1 ? '2px solid #aaa' // category 값이 "평균" 이라는 단어를 포함할 경우 : '1px solid #ddd' // category 값이 "평균" 이라는 단어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삼항연산자는 3개의 ..

React Native TextInput 비밀번호 타입으로 입력 TextInput에 비밀번호 타입인 "****" 값으로 입력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secureTextEntry 옵션을 사용하면 된다. 간단한 옵션이기 때문에 따로 설명업이 바로 예제로 들어가겠다. TextInput 비밀번호 타입으로 입력 예제 TextInput 옵션에 secureTextEntry ={true} 값을 입력해주면 이미지처럼 "****" 값으로 입력되게 된다.

C# 현재 위치의 함수명 호출 System.Reflection.MethodBase.GetCurrentMethod().Name 함수를 사용해서 현재 위치의 함수명을 호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사용해서 프로그램에서 예외가 발생했을 때 예외가 발생한 위치의 함수명을 화면에 출력하거나 DB에 저장해주면 빠르게 에러를 찾을 수 있다. 현재 위치의 함수명 호출 예제 private void button1_Click(object sender, EventArgs e) { string methodName = System.Reflection.MethodBase.GetCurrentMethod().Name; // 현재 함수명 호출 Console.WriteLine(methodName); // 현재 위치의 함수명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