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익 처음으로 20만원 돌파 애드센스로 수익이 발생한지 3개월이 됐다. 어느정도 방문자가 있는 상태에서 시작해서 그런지 애드센스 광고를 달고 첫달부터 월 10만원은 돌파를 했었다. 그리고 지난달 수익으로 약 20만원 정도를 받을 수 있었다. 처음에 주거래인 케이뱅크를 지급계좌로 등록했는데 케이뱅크는 해외송금이 안되서 하나은행으로 다시 변경해서 지급계좌를 등록했다. 20일날 지급되고 업무일 기준 5일 이내에 입금이 된다. 지금까지는 보통 다음날 바로 입금이 되었다. 카카오애드핏으로 아무리 열심히 해도 월 3만원도 힘들었는데 비슷한 방문자로 20만원 정도가 들어오니 아직도 애드핏을 사용하시는 분이 있다면 애드센스로 갈아타시면 좋을 것 같다. 4월 대비 5월 방문자수 및 페이지뷰 비교 4월에는 149달러가 들..

도메인 주소를 연결해 놓은 티스토리 블로그가 이번주에 애드센스 승인을 받았다. 접속자수가 별로 없는 블로그라서 애드센스 자동광고를 넣고서 내버려두고 있었는데 어김없이 ads.txt 파일 적용하라는 경고 알림이 왔다. ads.txt 인벤토리 관리 ads.txt는 승인받은 확인된 판매자를 통해서만 디지털 광고 인벤토리가 판매도리 수 있도록 도와주는 솔루션이다. 구매자가 가짜 인벤토리를 식별할 수 있도록 도와줘서 광고주가 가짜 인벤토리에 광고비가 지출하는 것을 막아준다고 한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로직이 돌아가는지는 모르겠다. ads.txt 파일 다운로드 또는 직접 생성 파일 다운로드가 가능한 경우 바로 다운로드 받으면 되고, ads.txt 파일 내용만 복사가 가능한 경우 복사한 내용을 ads.txt 파일을 생..

카카오 애드핏에서 애드센스 광고로 변경한 지 1주일이 지났다. 이전에는 막연하게 애드핏보다는 애드센스가 수익이 높을 것이라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이제는 애드핏보다 애드센스 수익이 압도적으로 높다고 추측이 아닌 데이터로 말할 수 있다. 10배 정도의 수익 차이가 발생할 것으로 생각했고 거의 예상과 일치한 결과가 나왔다. 애드센스 vs 애드핏 1주일 수익 비교 결과부터 말하면 약 7배 정도의 수익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애드센스 광고를 송출한 최근 1주간의 평균 방문자수가 애드핏 광고를 송출한 1주간 방문자보다 20~30% 정도 적었다. 이점을 감안하면 약 10배 정도의 수익 차이가 발생하는 것 같다. 일별 수익 비교 - 애드센스 평균 방문자 800+-, 애드핏 평균 방문자 1000+- 월 화 수 목 금 토..

구글 애드센스 사용 1주일 정도 지나고 "수익 손실 위험 - 수익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사이트에서 발견된 ads.txt 파일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라는 알림을 받았다. 무슨 내용인지 잘 몰라서 "자세히 알아보기" 링크를 눌러서 내용을 확인해봤다. Ads.txt(인벤토리 관리) 내용을 정확히는 이해하지 못했지만 가짜 인벤토리(사이트, 블로그 등)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인증서 같은 것으로 이해했다. 광고를 판매하는 애드센스 사용 사이트를 식별하여 광고주에게 가짜 인벤토리에 광고비가 지출되는 걸 막아준다는 내용이다. 광고주는 자신이 정한 한도 내에서 애드센스 광고 노출이나 클릭 횟수에 따라서 금액이 차감되는데 엉뚱한 사이트 광고 노출로 인해서 광고비가 지출되면 판매자나 광고주 모두 피해를 보게..

사정이 생겨서 노트북에서 개발 중이던 react 프로젝트 소스를 데스크탑으로 옮기게 되었다. 소스를 통째로 복사해서 옮기고 npm start 해서 실행하는 순간 에러가 발생했다. 그래서 build도 안되나 해서 npm run build 명령어를 실행하니 또 빌드는 잘된다. 그리고 특이하게 인터넷을 무선으로 잡으면 잘되고 유선랜으로 연결하면 안된다. 에러내용 Proxy error: Could not proxy request /favicon/android-chrome-192x192.png from localhost:3030 to http://localhost:80/. See https://nodejs.org/api/errors.html#errors_common_system_errors for more inf..

애드센스 승인 드디어 구글 애드센스 승인이 됐다. 승인까지는 3개월 정도 걸렸고 그동안 여러 가지 방법을 써봤는데 모두 실패해서 낙담하고 있던 찰나에 승인이 됐다. 원하는 대학교에 합격했을 때와 원하는 회사에 합격했을 때 이후로 무언가에 합격해서 이렇게 기쁘기는 거의 10년 만인 것 같다. 구글 메일에 알람을 켜놓고 메일이 올 때마다 설레는 마음으로 열어봤던 3개월의 시간이 지치긴 했지만 그래도 조금 지겨웠던 인생에 활력인 됐던 것 같다. 승인요청 14회만에 성공 작년 11월에 애드센스라는 것을 알았다. 22년 12월 17일에 처음으로 신청을 했고 14번의 실패 끝에 23년 3월 11일에 승인이 됐다. 3월까지도 승인이 안되면 크몽에 애드센스 승인 대행을 사용하려고 알아보고 있었다. 3개월 동안 정말 나..

flutter는 다른 프로그램과 달리 특정 폴더에 이미지를 넣고 해당 경로를 지정해 줘도 이미지가 호출되지 않는다. 사전에 pubspec.yaml 파일에 assets를 등록한 이미지만 호출해서 사용할 수 있다. 간단한 샘플 코드를 통해서 테스트해보도록 하겠다. images 폴더에 이미지 추가 root 경로에 images 폴더를 하나 생성 후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이미지 4개(dog1.jpeg, dog2.jpeg, dog3.jpeg, dog4.jpeg)를 추가해줬다. 이미지 추가 방법은 새로 생성한 images 폴더를 열어서 이미지를 넣어주거나 마우스로 이미지를 선택 후 images 폴더로 드래그해서 넣을 수 있다. assets에 이미지 경로 추가 프로젝트 root 경로에 "pubspec.yaml" 이라는 ..

flutter에서 기본적인 테마를 사용할 경우 위젯, 함수, 이벤트, 상태 등 색상으로 구분이 어렵다. 이럴 경우 코드의 가독성을 크게 떨어트리기 때문에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테마 플러그인을 설치해서 폰트 색상을 변경해 주면 좋다. flutter 기본 프로젝트를 만들면 자동으로 생성되는 간단한 코드를 기준으로 확인해 보겠다. 기본 테마의 폰트 색상 기본으로 생성한 프로젝트의 코드이다. 위젯 부분은 노란색, 위젯의 속성 부분은 보라색 등으로 구분해 줬지만 나머지 폰트는 회색으로 모두 비슷해서 폰트의 색상만으로는 무엇을 의미하는지 확인이 조금 어렵고 코드의 가독성이 떨어진다. One Dark Theme 테마 적용 가장 많이 사용하는 테마인 One Dark Theme을 적용하면 달라진 색상을 확인할 수 있다...